경제 사회생활의 물질적기초를 이루는 요소로서 사람이 살아나가며 사회가 발전하는데 필요한 사회적생산과 분배 및 류통과 소비과정에서 맺어지는 사람들의 사회적관계 즉 생산관계의 총체 또는 사회적분업부문들의 총체를 이르는 말. 경제란 《경국제민》 또는 《경국제세》라는 한자성구에서 《경》자와 《제》자를 딴데서 나온 말이다. 《경국제민》은 나라일을 맡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이고 《경국제세》는 나라일을 맡아 다스리고 세상을 구원한다는 뜻이다.[經濟] 출전: 리규찬 외, “단어유래집”, 2019(주체108),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경세제민의 유래에는 몇 가지 설이 있다. 먼저 조조의 셋째 아들인 조비(위 고조 문황제)가 정치적인 의미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두 번째로 중국의 삼경 중 하나인 《서경(書經)》에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OHXi/btqARY7HgSO/XWlPjbfWu26skn795npeTK/img.png)
2019/12/17 - [Bookshelf] - [북한말] 감쪽같이 [북한말] 감쪽같이 감쪽같이 감쪽같이 하는 일이 날쌔고 솜씨있어 남들이 전혀 알수 없도록 아무 흔적도 없게 한다는긋을 이르는 말. 곶감의 쪽을 먹는것과 같이 날쌔게라는데서 나온 말이다. 곶감은 여러개의 감을 나무꼬챙이에 꽂.. editor752.tistory.com 강강수월래 강강수월래 임진조국전쟁때 남해바다가지대의 녀성들이 왜적이 쳐들어오는것을 감시하면서 오랑캐(왜적)들이 물을 건너온다는 뜻으로 부르던 민요를 이르는 말. 임진조국전쟁이 일어나자 남해가의 녀성들은 왜놈들을 반대하여 싸우는 군인들을 고무하여 《강강수월래》의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승리의 날을 념원했다. 여기서 《강강》은 《강한 적》이라는 뜻이고 《수월래》는 《물을 건너온..
거오대산 거오대산 큰 자라가 산을 떠받든다는 뜻으로 《은덕》에 몹시 감동됨을 이르는 말. 옛날 발해동쪽의 큰 바다에 신선들이 산다는 대여, 원고, 방호, 염주, 봉래라는 다섯개 섬들이 바다물위에 떠있던것을 《하늘황제》가 우강(禹彊)을 시켜 15마리의 큰 자라들로 떠받들게 하여 파도에 흔들리지 않게 하였다는 신화에서 나온 말이다.[巨鼇戴大] 출전: 리규찬 외, “단어유래집”, 2019(주체108),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삼신산 이야기는 열자의 탕문(湯問) 편에 나온다. 원문을 일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渤海之東(발해지동), 不知幾億萬里有大壑焉(부지기억만리유대학언).…其中有五山焉(기중유오산언). 一曰岱輿(일왈대여), 二曰員嶠(이왈원교), 三曰方壺(삼왈방호), 四曰瀛洲(사왈영주), 五曰蓬萊(오왈봉래). 발해의 ..
경적필패 적을 업수이 여기면 반드시 패한다는 뜻으로 적을 경시하지 말고 충분한 준비를 갖추고 늘 각성을 높여야 함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제2차 반거란전쟁시기 행영도통사 강조의 지위밑에 고려의 방어군은 통주성전투에서 성밖에 미리 진을 치고있다가 홍화진을 거쳐 통주성으로 밀려드는 침략자들에게 된매를 안기여 승리를 거두었다. 첫 승리에 자만도취한 강조는 바둑만 두면서 전선지휘를 소홀이 하고있다가 적기마대의 불의의 습격을 받아 적지 않은 지휘성원들과 함께 생포되었다. 갑자기 지휘성원들을 잃게 된 고려의 방어진에는 혼란이 일어나고 많은 희생자가 나게 되였으며 적들은 이 기회를 리용하여 개성에까지 침범함으로써 전쟁전반에 엄충한 후과를 빚어낸데서 나온 말이다.[輕敵必敗] 출전: 리규찬 외, "단어유래집", 201..
2019/11/20 - [Bookshelf] - [북한말] 갈등 [북한말] 갈등 갈등 갈등 서로 다른 립장과 견해, 리해의 대립으로 모순을 이루는 복잡한 관계나 거기서 생기는 충돌을 이르는 말. 옛날 어떤 문인이 정계에서 물러나 산속에 숨어지내고있었는데 하루는 벼랑가에 서로 얽히여 뻗.. editor752.tistory.com 감쪽같이 감쪽같이 하는 일이 날쌔고 솜씨있어 남들이 전혀 알수 없도록 아무 흔적도 없게 한다는긋을 이르는 말. 곶감의 쪽을 먹는것과 같이 날쌔게라는데서 나온 말이다. 곶감은 여러개의 감을 나무꼬챙이에 꽂아 말리운것으로서 그 하나하나의 감을 감쪽이라고 불러왔다. 그 쪽은 매우 달고 맛이 있기때문에 재빨리 먹어치우게 된다. 그러므로 옛살부터 무엇을 빨리 먹어치우거나 무슨 일을 날래게 ..
2019/11/27 - [Bookshelf] - [북한말] 가인박명 [북한말] 가인박명 가인박명 가인박명 미신적관념에서 생김이 아름다운 녀자는 운명이 기구하다는 뜻으로 일러오는 말. 중국 북송시기의 문인이였던 소식이라는 사람이 어진 녀자중에 대하여 쓴 시에서 나온 말이다. 그는 시에서 머.. editor752.tistory.com 각주구검 각주구검 배에 금을 긋고 칼을 찾는다는 뜻으로 주위의 변화를 무시하고 옛것만 붙들고있는 사람을 풍유하여 이르던 말. 한 사나이가 배를 타고 강을 건느다가 강에 칼을 떨어뜨렸는데 그것을 깨달았을 때는 배가 한참 자난 뒤였다. 사나이는 칼을 찾을 심산으로 배전에 급히 금을 긋고 그밑에 칼이 떨어졌다고 하고는 배밑으로 자맥질해들어가 칼을 찾기 시작하였다. 사람들은 그를 보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tips
- C
- 북한말
- 리규찬
- QLabel
- 백준
- PyQt5
- QComboBox
- BOJ
- 소수
- word
- Python
- Tistory
- QLineEdit
- setText()
- QtDesigner
- 리찬규
- judge
- python3
- Mac
- django
- baekjoon
- words
- 어원
- NK
- MacOS
- 유래
- QGridLayout
- books
- locallibrar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