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Bookshelf

[북한말] 가치담배

editor752 2019. 11. 13. 11:53

2019/11/20 - [Bookshelf] - [북한말] 가사

 

[북한말] 가사

가사 가사 불교에서 승려들이 왼쪽어깨에 걸쳐입는 정복을 이르는 말. 가사의 기원은 사람이 내버린 옷 또는 죽은 사람의 옷을 《백팔념주》를 본따서 108장을 모아 불규칙적으로 꿰맨것이였다. 가사라는 말은 싼..

editor752.tistory.com

가치담배

가치담배 얇은 종이로 한가치씩 만 담배를 이르는 말.

1831년~1833년에 에짚트와 뛰르끼예사이에 전쟁이 있었는데 어느날 에짚트군이 뛰르끼예군의 담배수송대를 붙들었다. 당시에는 곰방대로 담배를 피웠는데 에짚트병사들은 곰방대가 없어서 담배를 피울수 없었다. 이때 한 병사가 탄약을 쌌던 종이에 담배를 놓고 돌돌 감아서 피우기 시작하자 모두가 따라 피웠다. 그후 1843년에 이르러 프랑스에서부터 가치담배가 출현하게 되였다.

출전: 리규찬 외, "단어유래집", 2019(주체108),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남한에서 지금은 '가치담배' 하면, 낱개의 궐련을 떠올리기 십상이다.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의 '가치담배'도 "갑에 넣지 않고 낱개로 파는 담배"로 풀이되어 있다. 그러나 위 유래에서 보듯이 북한과 남한의 '가치담배'의 의미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담배는 사람들의 생활에 리용되는 기호품의 하나이다. 담배가 사람들의 생활에 리용될 때에는 담배잎을 주로 리용하게 되는데 그 가공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즉 담배잎 그자체를 말아서 리용하는 경우, 담배잎을 일정한 크기로 썰어 사용자자신이 종이에 말아 리용하는 경우, 썬 담배잎을 기계로 말아 가치담배로 리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에 따라서 그 이름도 《잎담배》, 《썬담배》, 《가치담배》라고 부른다.(《상품이름을 짓는데서 실머리를 어떻게 잡을것인가》)

위는 『문화어학습』의 글로 북에서는 담뱃잎 이용 방식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하였다.

  1. 잎담배: 말린 담뱃잎을 그대로 말아서 피우는 담배. 예) 시거
  2. 썬담배: 말린 후 잘게 자른 담뱃잎을 직접 종이에 말아서 피우는 담배. 예) (가내수공품) 궐련
  3. 가치담배: 말린 후 잘게 자른 담뱃잎을 기계로 말아서 피우는 담배. 예) (공산품) 궐련

<가치담배>의 의미는 아래의 용례를 통해서도 다시 확인된다.

담배곽을 꺼내여 {가치담배를} 뽑아 로인에게 권하시였다.(《초석》)

윤걸은 서춘근이가 준 {가치담배를} 툭 터쳐 잎담배와 섞어 대통에 담았다.(《해당화 피는 땅》)

내가 담배 한대를 권하자 그는 {가치담배는} 싱거워서 못피우겠다며 담배통을 내다가 마라초를 말아 피워물었다.(《풍림땅》)


위 예문에서 <마라초>는 "담배대나 곰방대를 쓰지 않고 종이에 말아서 피우는 살담배나 잎담배."를 뜻한다.

2019/11/20 - [Bookshelf] - [북한말] 가야금

 

[북한말] 가야금

가야금 가야금 우리 나라 민족 뜯음현악기의 하나를 이르는말. 가야(1세기~6세기 중엽에 존재한 우리 나라 남해안일대의 소국)의 평민가정에서 태여난 우륵이 진지한 탐구와 노력끝에 몸체의 웃부분은 하늘처럼 둥..

editor752.tistory.com

 


'Bookshel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말] 격세지감  (0) 2019.11.14
[북한말] 격강천리  (0) 2019.11.14
[북한말] 겨울  (0) 2019.11.14
[북한말] 건달  (0) 2019.11.14
[북한말] 검려지기  (0) 2019.11.1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
02-07 21:46